일본 부동산 A to Z

  • 일본 부동산수익률 계산
  • 일본 부동산용어
  • 일본 주거형태
  • 일본전철/지하철 노선도

일본 부동산 상식(2)

일본 부동산 용어 알아보기

  • 01

    보증금(敷金)

    보증금(시키킹)이다. 초기 입주시에 발생하는 금액으로 집세 1~2개월분을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퇴실 시 청소비용을 차감하고 돌려받는다.

  • 02

    사례금(礼金)

    집주인에게 지불하는 사례금(레이킹)이다. 예를 중시하는 일본문화의 산물로써 돌려 받을 수 없는 비용이다. 1~2개월이 일반적

  • 03

    관리비(管理費) / 공익비(共益費)

    공용부분에 대한 시설유지와 보수에 쓰이는 비용이다. 수도, 전기, 가스의 광열비는 아니다.

  • 04

    중개수수료(仲介手数料)

    부동산에 지불하는 수수료이다. 일본 임대계약의 법정 중개수수료는 월세 1개월 + 소비세(8%)로 정해져 있다.

  • 05

    사무수수료(事務手数料)

    중개수수료와 별개로 계약 외 업무(통번역, 대행 처리 업무)가 있을 때 발생한다.

  • 06

    선불 집세(前家賃)

    일본의 입대차 계약은 대부분 선불로 월세를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
  • 07

    일할 집세(日割り家賃)

    개인의 사정에 따라 입주일이 모두 제각각이므로 입주 날짜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발법을 말한다. 월세 ÷ 일수(30일 또는 31일) = 일할 집세

  • 08

    화재보험(火災保険) / 가재보험(家財保険)

    화재, 누수, 도난 등 여러가지 생활 전반에 걸친 종합보험이다. 임대 계약 시 필수 가입 사항이다. 2년 기준 1~2만엔이 일반적이다. 재계약시 함께 갱신된다.

  • 09

    열쇠 교환비용(鍵交換費用)

    도난에 대비하여 전 입주자가 사용했던 열쇠를 교환하는 비용이다. 집주인이 부담하지 않는 경우 세입자가 부담하게 된다.

  • 10

    갱신료(更新料)

    최초 임대 계약기간이 만료, 재계약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. 2년마다 하는 것이 일반적

  • 11

    계약기간(契約期間)

    보통 계약의 경우 2년이 기본이지만 1년 또는 3년 이상 등 정기 계약도 있다. 일본의 임대 계약은 한국처럼 의무적 거주기간을 뜻하는 것이 아닌 기간 내 입차권을 독점하는 보장 기간이다. 계약기간에도 퇴실 룰을 지켜 퇴실한다면 위약금은 발생하지 않는다.

매물 현황

스타츠가 제공하는 다양한 매물들을 확인해보세요.

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
스타츠 코리아에 문의해주세요.

  • 영업시간

    평일 09:00 ~ 18:00

    (주말, 공휴일 휴무)
  • 전화 문의

    02-779-8170

    (일본어 대응 가능)
  • 메일 문의

    korea@startskorea.co.kr

STRARTS 스타츠인터내셔날코리아 주식회사

  • 대표자: 박지헌

Copyright © 2024 STARTS CORPORATION. All Rights Reserved.